아산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산시 시내버스는 2020년 6월 1일부터 현재의 요금 체계를 적용하며, 2007년 8월부터 천안시 시내버스와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2016년 3월부터 천안, 당진, 평택 방면으로 단일 요금제가 시행되어 기본 요금으로 모든 노선을 이용할 수 있으며, 2022년 1월부터 수도권 전철과의 환승 할인이 시행된다. 아산여객, 온양교통, 아산시시설관리공단에서 운행하며, 노선은 0번대 마중버스, 00번대 공영버스, 100번대 송악 방면, 170번대 배방 수철리 방면, 200번대 성환 방면, 300번대 신창·선장 방면, 400번대 신창·도고·선장 방면, 500번대 둔포·평택 방면, 600번대 영인·인주 방면, 700번대 탕정·음봉 방면, 800번대 배방 방면, 900번대 천안 방면, 1000번대 특화 노선, 2000번대 충남형 M버스, 예산군 농어촌버스와의 연계 노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남도의 버스 교통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충청남도의 버스 교통 - 내포시외고속버스정류장
내포시외고속버스정류장은 충청남도 홍성군에 위치하여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등 다양한 지역을 연결하는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서울호남행 고속버스와 수도권 주요 도시 및 충청권, 호남권 지역으로 향하는 시외버스, 그리고 예산군과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를 운행한다. - 아산시의 교통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아산시의 교통 - 도고온천역
도고온천역은 충청남도 아산시에 위치한 장항선의 철도역으로, 선장역으로 개업하여 역명 변경 및 이전을 거쳐 2007년 현재의 고가역으로 이전했으며,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아산시의 시내버스 | |
---|---|
버스 정보 | |
지역 | 아산시 |
구분 | 시내버스 |
![]() | |
관리 기관 | 아산시청 건설교통국 |
서비스 지역 | 충청남도 아산시 |
기타 지역 | 충청남도 천안시 충청남도 공주시 충청남도 당진시 경기도 평택시 |
노선 수 | 86 |
인가 대수 | 176대 |
지불 수단 | 현금, 교통카드 |
선불 카드 | 티머니 캐시비 마이비 레일플러스 한페이 |
후불 카드 | 국민 농협 롯데M형과 MT형 사용가능, T형 사용불가. BC 삼성 신한 하나 현대M형 사용가능, T형 사용불가. |
사이트 | 아산시 버스정보시스템 사이트 |
2. 운임
현행 요금 체계는 2020년 6월 1일부터 적용되고 있다.[5] 2007년 8월 10일부터 천안시의 시내버스와 무료 환승이 가능하며, 2022년 1월 1일부터 수도권 전철과 환승 할인이 시행되고 있다.[6]
2016년 3월 1일부터 천안, 당진, 평택 방면으로 단일요금제가 시행되어 시 경계 지역 주민들의 교통비 부담이 완화되었다. 2017년 9월 1일부터는 청소년 버스 요금이 인하되었다(교통카드 이용 시).
2. 1. 요금표
현행 요금 체계는 2020년 6월 1일부터 적용되고 있으며,[5] 2007년 8월 10일부터 천안시의 시내버스와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하지만 예산군의 농어촌버스와는 환승 할인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2022년 1월 1일부터 수도권 전철과의 환승 할인이 시행된다.[6]2016년 3월 1일부터 천안, 당진, 평택 방면으로 단일 요금제가 시행됨에 따라 모든 노선이 기본 요금으로 단일화되었다. 예를 들어 천안시 배방읍, 평택시 둔포면 등 시 경계 지점에서 환승하는 불편 없이 기본 요금만으로 당진시, 천안시, 평택시까지 갈 수 있으나, 하차할 때 반드시 교통카드를 태그해야 한다. 당진시, 평택시의 경우 환승 할인이 불가능하며, 이 행정 구역에서 승차할 경우 기본 요금이 추가로 지불된다. 2017년 9월 1일부터 청소년 버스 요금이 인하되었다(교통카드로 지불한 경우에만 해당).
종류 | 나이 | 카드 (원) | 현금 (원) |
---|---|---|---|
일반 | 성인 (만 19세 이상) | 1500KRW | 1600KRW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920KRW | 1280KRW | |
어린이 (만 7세 ~ 12세) | 700KRW | 800KRW | |
공영 | 성인 (만 19세 이상) | 800KRW | 1000KRW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600KRW | 800KRW | |
어린이 (만 7세 ~ 12세) | 300KRW | 500KRW |
아산시내버스는 2007년 9월 1일 노선 번호를 3자리로 개정하고 LED 행선지 표기를 도입하였다.[8] 2008년 10월 3일 노선 전면 개편을 통해 현재의 운행 체계를 갖추었다.[9] 2012년 11월 1일부터 일부 오지 지역에 마중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3. 운수 업체
4. 노선
2015년 10월 17일 부분 공영제 노선 전면 개편으로 영인, 둔포 방면 노선이 마중버스로 교체되고 503번 노선이 신설되었다. 2016년 5월 1일부터 둔포 경유 평택시외버스터미널 방면 500번대 버스의 운행 방식이 변경되었다. 2023년부터 마을버스(2자리수), 시내버스(3자리수), 준공영 특화 노선(4자리수)으로 구분하여 운영하고 있다.노선
번호운행구간 경유지 배차
간격
(분)비고 16
지선시외버스터미널 ↔ 거산2리 마을회관 아산축협온천지점, 평촌1·2·3리, 역촌2리, 송남중학교, 마곡리, 궁평리, 유곡1·2·3리, 거산초등학교, 송학2리, 거산1리 상행 3회
하행 2회16-1
지선시외버스터미널 ↔ 거산2리 마을회관 아산축협온천지점, 평촌1·2·3리, 역촌2리, 송남중학교, 마곡리, 궁평리, 유곡1·2·3리, 거산초등학교, 송학2리, 종곡리 마을회관, 거산1리 상하행
각 1회17
지선시외버스터미널 ↔ 거산2리 마을회관 아산축협온천지점, 외암3리, 역촌1리, 역촌삼거리, 송남중학교, 역촌2리마을회관, 유곡1리 신성강장마을, 봉곡사, 거산초등학교, 송학2리, 송학1리, 거산1리 상행 4회
하행 6회17-1
지선시외버스터미널 ↔ 거산2리 마을회관 아산축협온천지점, 외암3리, 역촌1리, 역촌삼거리, 송남중학교, 궁평리, 유곡1리, 송학2리, 거산1리, 거산2리 성골 상하행
각 1회18
지선시외버스터미널 ↔ 공설봉안당 아산축협온천지점, 외암3리, 역촌1리, 역촌삼거리, 송남중학교, 역촌2리, 마곡1리, 유곡1리, 거산초등학교, 송학2리, 종곡리 마을회관, 거산1리, 거산2리 성골, 각흘고개, 문금리 상행 3회
하행 4회18-1
지선공설봉안당 → 고속버스터미널 문금리, 각흘고개, 거산2리 마을회관, 거산1리, 송학1리 송학골, 거산초등학교, 유곡2리, 궁평리, 송남중학교, 역촌리, 평촌 1·2·3리, 온양온천역 유엘시티 1회 18-2
지선아산축협온천지점 → 공설봉안당 외암3리, 역촌1리, 역촌삼거리, 송남중학교, 궁평리, 유곡리, 거산초등학교, 거산1리, 거산2리 성골, 각흘고개, 문금리 1회 19
지선시외버스터미널 ↔ 아산시공설봉안당 아산축협온천지점, 역촌1리, 역촌삼거리, 송남중학교, 마곡1리, 유곡 1·2리, 거산초등학교, 송학2리, 종곡리 마을회관, 거산1리, 거산2리 성골, 각흘고개, 문금리, 문금리 탑곡삼거리 상하행
각 1회20
지선시외버스터미널 ↔ 아산시공설봉안당 아산축협온천지점, 역촌1리, 송남중학교, 유곡1리, 봉곡사, 유곡1리 신성강장마을, 유곡 2·3리, 거산초등학교, 송학1리 송학골, 거산1리, 거산2리 성골, 각흘고개, 문금리, 문금리 탑곡삼거리 상하행
각 2회21
지선시외버스터미널 ↔ 강장2리지레 아산축협온천지점, 역촌1리, 역촌삼거리, 역촌2리, 동화리 송악저수지, 동화2리, 수곡1·2리, 예꽃재마을, 강장4거리, 강장2리 아랫마을 상하행
각 6회22
지선시외버스터미널 ↔ 강장1리오돌개마을 아산축협온천지점, 역촌1리, 역촌삼거리, 역촌2리, 동화2리, 동화2리 마을회관, 수곡1·2리, 예꽃재마을, 강장4거리, 강장2리 아랫마을, 오돌개마을입구 상하행
각 2회22-1
지선오돌개마을입구 → 송악농협 강장4거리, 강장2리, 예꽃재마을, 수곡2리, 동화2리, 역촌2리, 역촌삼거리, 다라미자운영마을 1회 23
지선역촌1리 → 강장2리지레 다라미자운영마을, 역촌삼거리, 동화2리, 수곡1·2리, 예꽃재마을, 강장2리, 강장사거리 1회 30
지선온양4동 행정복지센터 → 신창면 행정복지센터 배미빌라앞, 배미서진아파트, 신일아파트, 한미아파트, 남성리 남방재, 한일이화, 신달2리, 신창파출소, 오목오거리, 신달1·2리 상행 5회
하행 6회31
지선창암1리 고갯마루 → 신창면 행정복지센터 황산2리, 창암2리, 점량동, 득산동, 득산농공단지, 부영아파트, 친오애아파트, 읍내2리, 신창초, 오목2리, 신창중, 신달2리, 신창파출소, 오목오거리 1회 32
지선창암3리마을회관 → 신창면 행정복지센터 창암2리, 황산2리, 창암1리, 행목리, 신창역, 양우내안애아파트, 친오애아파트, 읍내2리, 신창초, 오목2리, 신창중, 신달2리, 신창파출소, 오목오거리 상하행
각 3회33
지선염치농협 → 용두3리 염치읍 행정복지센터, 염성1리, 곡교2리, 석두1리, 석정1리, 한남프래시앙아파트, 송곡1리, 백암3리 마을회관, 백암2리, 대동리 삼거리 상하행
각 4회41
지선고속버스터미널 → 건널목삼거리 온양온천역 신한은행, 아산시청, 신창역, 한국콘도, 도고면행정복지센터 , 옹기전시체험관, 금산3리 해비타트, 도고꽃식물원, 금산리, 신언리삼거리, 신언2·3리 상하행
각 6회41-1
지선고속버스터미널 → 건널목삼거리 온양온천역 신한은행, 아산시청, 신창역, 향산리 용호원, 신통1리 마을회관, 신성1리, 도고면 행정복지센터, 옹기전시체험관, 금산3리 해비타트, 도고꽃식물원, 금산리, 신언리삼거리, 신언2·3리 상하행
각 1회42
지선고속버스터미널 → 군덕교 온양온천역 신한은행, 아산시청, 석당리 마을회관, 신유삼거리, 도산2리 새말, 신유삼거리, 도고중, 도고온천역, 금산3리 해비타트, 금산리, 신언리삼거리, 도고면 행정복지센터, 기곡2리 상하행
각 5회42-1
지선고속버스터미널 → 군덕교 온양온천역 신한은행, 아산시청, 석당리 마을회관, 덕암리 입구, 신유삼거리, 도산1리 마을회관, 신유리 팽나무갱이, 도고중, 도고온천역, 금산3리 해비타트, 도고꽃식물원, 신언리삼거리, 도고면행정복지센터, 유리요양병원 상행 2회
하행 1회43
지선고속버스터미널 → 농은리 점밭골 온양온천역 신한은행, 아산시청, 글로리콘도입구, 도고면 행정복지센터, 옹기전시체험관, 도고온천역, 도고중, 신유삼거리, 오암2리구암말, 화천초등학교, 오암1리회관, 화천1리, 농은리마을회관 상하행
각 8회43-1
지선고속버스터미널 → 농은리 점밭골 온양온천역 신한은행, 아산시청, 신통1리 마을회관, 신성1리, 도고면행정복지센터, 신언리삼거리, 금산리, 도고온천역, 도고중, 신유삼거리, 도산2리, 화천초등학교, 화천2리, 농은리 2회 45
지선농은리 점밭골 → 고속버스터미널 농은리, 화천2리회관, 오암1리회관, 화천1리, 화천초등학교, 도산2리새말, 신유삼거리, 석당리 마을회관, 온양온천역 2회 46
지선고속버스터미널 → 효자리마을회관 온양온천역 신한은행, 아산시청, 신통1·2리 마을회관, 신성1·2리, 도고면행정복지센터, 신언리삼거리, 금산리, 도고꽃식물원, 연봉정 상하행
각 4회50
지선둔포농협 → 신휴2리마을회관 둔포초, 백남아파트, 엘림가든, 운교2리마을회관, 석곡1리독골, 신기모빌, 태성기연, 신휴3리마을회관, 신휴1리 신부엉골 상하행
각 4회51
지선둔포농협 → 신항1리 온양온천역 신한은행, 둔포3리, 송용1·2리, 새말, 퍼스트빌리지, 산천리, 관대리, 둔포신협 상하행
각 6회57
지선둔포농협 → 신왕2리 새터 둔포중, 이지더원5·3단지, 이지더원1·2차아파트, 중앙공원, 염작1리, 운용1리, 신방리, 신방1리 마을회관 상하행
각 4회58
지선신휴2리마을회관 → 둔포농협 신휴3리, 염작초등학교, 염작1리, 운용1리, 원농원, 신기모빌, 엘림가든, 둔포초 1회 60
지선고속버스터미널 → 인주농협 온양온천역 신한은행, 아산시청, 영인면행정복지센터 , 아산2리, 상성리 마을회관, 신현리, 냉정리, 관암리 마을회관 상하행
각 6회60-1
지선영인면사무소,환승센터 → 인주농협 , 아산2리, 상성리 마을회관, 신현리, 냉정리, 관암리 마을회관 상하행 각 1회 62
지선고속터미널 → 음봉농협 청소년교육문화센터, 영인농공단지, 한성농공 앞, 성내3리, 음봉면행정복지센터 상행 2회 하행 4회 62-1
지선영인면사무소,환승센터 → 음봉농협 영인농공, 성내리, 신정 상행 2회 하행 4회 63
지선고속터미널 → 둔포농협 청소년교육문화센터, 영인농공단지, 신화1리, 신봉3리공장단지, 신봉3리, 송용1리 상행 1회 하행 4회 63-1
지선영인면사무소,환승센터 → 둔포농협 영인농공단지, 안골, 성내3리, 마라위, 신영모닝빌아파트 상행 2회 64
지선고속터미널 → 둔포농협 청소년교육문화센터, 영인농공단지, 와우리마을회관, 신봉4리작은철봉, 구성3리마을입구, 신봉1리큰철봉, 신봉2리마을회관 상행 4회 하행 3회 64-1
지선영인면사무소,환승센터 → 둔포농협 청소년교육문화센터, 영인농공단지, 신화초등학교, 서울화인테크, 구성3리마을회관, 신봉1리마을입구, 신봉2리새떼배기, 둔포신협 상행 5회 하행 5회 70
지선음봉농협 → 삼일아파트 삼거리, 음봉중, 월랑리, 산동리 , 해링턴플레이스스마트벨리, 스마일시티, 태현장미아파트 10회 80
지선장호빌딩 → 세교1리 배방농협, 세교4리, 설화중, 한국표준협회, 아산정신병원 상행 1회 하행 2회 중형전기버스 운행 80-1
지선세교1리 → 설화중 휴대2리, 패션2광장, LH아산사업본부 1회 중형전기버스 운행 81
지선장호빌딩 → 설화중 휴대리, 패션2광장, LH아산사업본부 1회 중형전기버스 운행 84
지선배방환승정류장 → 수철2리 장호빌딩, 그린빌라, 배방역, 신흥리, 초원아파트 상행 2회 하행 2회 중형전기버스 운행 85
지선배방농협 → 수철2리 장호빌딩, 그린빌라, 배방역, 신흥리 상행 4회 하행 5회 중형전기버스 운행 86
지선세교4리속셈말 → 한성아파트 설화중, LH아산사업본부, 패션1광장, 한국표준협회 1회 중형전기버스 운행 87
지선배방농협 → 세교4리속셈말 복수5리, 중앙하이츠3차 1회 중형전기버스 운행 88
지선공수리 → 배방환승정류장 윤정사, 배방석유, 금호어울림아파트 편도 1회 810번 노선 변경으로 인한 신설, 마중택시 이용
4. 1. 마중버스 (0번대)
번호운행구간 경유지 배차
간격
(분)비고 1
마중동아아파트 → 어의정앞 신정중학교, 아산교육지원청, 경남아너스빌, 청소년교육문화센터, 권곡주공아파트, 온양민속박물관, 성환아파트, 권곡초등학교, 아산소방서, 대림아파트, 주은아파트, 용화3통, 용화근린공원, 용화중학교, 용화고등학교 2회 등교버스 2
마중동일하이빌A → 신정중학교 현대아이파크아파트, 신도브래뉴, 용화3통, 용화근린공원, 용화중학교, 용화고등학교, 어의정앞, 주공2단지, 주공3단지, 아산시평생학습관, 신정호, 신정호저수지입구, 아산실내수영장, 백련암, 방축현대아파트, 방축주공아파트, 오성하이츠2차, 노인복지회관, 경성아파트, 남산현대아파트앞, 동아아파트 1회 등교버스 3
마중상아아파트 → 신창중학교 읍내2리, 신창초, 신창중 1회 등교버스 10
마중Y시티아파트 → 불당한성A 2회 등교버스 11
마중이순신종합운동장 ↔ 경찰인재개발원 동일하이빌 → 온양6동입구 → 온양농협경제센터 → 법곡2통 → 엘크루, 신인1통 8회